이전 글에서 서식문자 %c

printf() 함수에서 어떻게 쓰는지 살펴보았는데요.


아직 printf() 함수에서 서식문자 %c를 안써보셨다면...

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. 



[C2-5] 문자 출력 - %c



위의 글에서 %c의 사용법을 살펴보았는데요.

서식문자 %c는 한 번에 한 글자만 출력이 가능했어요.


그래서...

여러 글자, 즉 문자열을 출력할 때에 좀 불편했죠.


그런데 다행히도 %s라는 서식문자가 있어요.

정말 다행이죠.


그러면 %s를 어떻게 쓸까요?

밑의 코드를 잘 봐주세요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%s", "ABCD");

	return 0;
}



어때요?

사용법이 %c랑 비슷하긴 하죠?


네, 맞아요.

%c랑 비슷하기는 한데,

좀 신경쓰셔야 할 부분도 있답니다.


바로...

여러 글자를 한꺼번에 쓸 때에는

작은 따옴표 ' '가 아니라,

큰 따옴표 " "로 감싸줘야 한다는 사실입니다!


즉, printf("%s", 'ABCD');라고 쓰면 안된다는 것이죠.


다시 정리하면,

한 글자작은 따옴표!

여러 글자큰 따옴표!


잊지 마세요! 


아차차..

보통 한 글자문자라고 하구요.

여러 글자문자열이라고 한다는 점도

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! 

'C언어 학습 공간 > 기본 출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2-5] 문자 출력 - %c  (0) 2018.10.29
[C2-4] 실수 출력 - %lf  (0) 2018.10.26
[C2-3] 정수 출력 - %d  (0) 2018.10.26
[C2-2] 개행 출력 - \n  (0) 2018.10.26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  (0) 2018.10.25

앞서 printf() 함수에서 정수와 실수를

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.


혹시 printf() 함수에서 %d%lf라는

서식문자를 사용해본 적이 없다면...

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. 



[C2-3] 정수 출력 - %d


[C2-4] 실수 출력 - %lf



앞선 두 글에서는 서식문자를 사용하여

printf() 함수에서 정수와 실수를 출력해 보았습니다.


서식문자로 숫자만 출력을 할 수 있느냐?


그렇지 않습니다.

문자를 출력하는 서식문자도 있습니다.


한 글자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

서식문자는 바로 %c이구요.


여러 글자(문자열)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

서식문자는 바로 %s입니다.

(이건 다음에 살펴볼게요.)


그러면 %c를 어떻게 쓸까요?

밑의 코드를 잘 봐주세요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%c", 'A');

	return 0;
}



사용법은 %d%lf와 비슷해보이죠?


맞아요.

상당히 비슷한데요.

주의하실 부분이 있습니다.


위의 코드는 알파벳 A를 화면에 출력하는데요.

한 글자를 나타낼 때에는 반드시!

작은 따옴표 ' '로 문자를 감싸줘야 한답니다.


즉, printf("%c", A);라고 쓰면 안된다는 것이죠.

(변수 A에 있는 값을 문자로 출력한다는 의미입니다.

지금 당장은 모르셔도 되는 부분이에요.)



그러면, 서식문자 %c를 사용하여

화면에 AB를 출력하려면 어떻게 할까요?



printf("%c%c", 'A', 'B');라고 하면 된답니다.



printf("%c %c", 'A', 'B');라고 한다면,

A B 이렇게 띄어쓰기가 될 것이구요.


이런 식으로

한 글자마다 %c를 사용해서 출력할 수 있답니다.



그런데 출력할 글자가 너무 길다면?


너무 많은 %c를 사용해야겠죠?


이건 꽤나 불편한 일이네요.


그래서 다음 글에서는

여러 문자(문자열)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있는

서식문자인 %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 

'C언어 학습 공간 > 기본 출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2-6] 문자열 출력 - %s  (0) 2018.10.30
[C2-4] 실수 출력 - %lf  (0) 2018.10.26
[C2-3] 정수 출력 - %d  (0) 2018.10.26
[C2-2] 개행 출력 - \n  (0) 2018.10.26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  (0) 2018.10.25

이번에는 printf() 함수에서

실수를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죠.


printf() 함수에서 %d라는 서식문자를 사용해서

정수를 출력해본 적이 없다면...

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. 



[C2-3] 정수 출력 - %d



printf() 함수를 사용해서

3.14를 출력해보겠습니다.


당연히,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

다음과 같이 할 수 있겠네요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3.14");

	return 0;
}



그런데 이 방법은 계산된 결과를 출력할 수가 없어요.



예를 들어서,

3.14 * 2의 결과를 출력하고 싶다면요?


그러면 서식문자를 사용해야겠죠?


소수점이 있는, 실수의 경우에는

%lf라는 서식문자를 사용합니다.


정수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서식문자인 %d

쓰는 방법은 동일합니다.


밑의 코드를 살펴볼까요?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%lf", 3.14 * 2);

	return 0;
}



printf() 함수에서는 쌍따옴표 사이에

서식문자를 사용할 수 있잖아요?


그러니까 printf("%lf", 3.14 * 2);처럼 쓸 수 있습니다.


3.14 * 2 = 6.28이니까,

화면에 6.28이 출력되겠죠?


정말 그런지 실행해봅시다.



6.280000



뭔가 맞는 것 같기도 하고,

다른 것 같기도 하고,

애매하죠?


6.28과 6.280000은 같은 값이니까 같다고 해야할지,

표현이 다르긴 하니까 다르다고 해야할지 애매합니다.


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출력되면 참 좋을텐데요.

그쵸?


이럴 때 사용하는 방법이 있답니다.


%lf 대신에 %.2lf라고 적어주면,

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출력이 된답니다.

(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결과)


%lf 사이에 .2를 적으면,

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
라고 이해하시면 참 쉽습니다.


자동으로 반올림된다는 사실도 꼭 기억하시구요!


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출력하려면,

%.1lf를 쓰면 되구요.

(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결과)


소수점 다섯째 자리까지 출력하려면,

%.5lf를 쓰면 되겠죠?

(소수점 여섯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결과)



그러면 결과적으로,

printf("%.2lf", 3.14 * 2);라고 하면,

6.28이 잘 출력된답니다. 

'C언어 학습 공간 > 기본 출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2-6] 문자열 출력 - %s  (0) 2018.10.30
[C2-5] 문자 출력 - %c  (0) 2018.10.29
[C2-3] 정수 출력 - %d  (0) 2018.10.26
[C2-2] 개행 출력 - \n  (0) 2018.10.26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  (0) 2018.10.25

이제 printf() 함수에서

정수를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.


printf() 함수가 생소하다면...

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. 


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


[C2-2] 개행 출력 - \n



printf() 함수를 사용해서

행운의 숫자 7을 출력해보겠습니다.


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

다음과 같이 할 수 있겠는데요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7");

	return 0;
}



이렇게 하면 화면에 7이 출력이 됩니다.


허무한가요?



그런데...

이번에는 계산된 결과를 출력하고 싶어요.


예를 들어서,

똑같이 7이 출력되기는 하겠지만,

3 + 4의 결과를 출력하고 싶어요.


그럴때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?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3 + 4");

	return 0;
}



이렇게 하면 될까요?


안타깝게도,

이렇게 하면 7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

3 + 4라고 그대로 출력이 된답니다.


사실, 당연한 결과죠. 



그래서 여기서 필요한 것이...

바로 "서식문자"입니다.


서식문자는 출력 형태를 지정해주는 문자인데요.


숫자를 출력하는 서식문자는

바로 %d입니다.


아...

%d는 숫자가 정수이어야 하구요.

(소수점이 없어야 한다는 이야기이죠.)


소수점이 있는, 실수의 경우에는

%lf를 사용한답니다.

(이건 다음에 살펴볼게요.)


지금은 3 + 4의 결과를 출력할거니까,

소수점이 없는, 정수인,

%d를 사용하면 될 것 같아요.


그러면 %d를 어떻게 쓸까요?

밑의 코드를 잘 봐주세요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%d", 3 + 4);

	return 0;
}



printf() 함수는 기본적으로

"부터 "까지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해주는데요.


"부터 "까지의 내용중에 서식문자가 있다면,

쌍따옴표 뒤에 ,를 찍고 숫자를 적어줄 수 있어요.


printf("%d", 3 + 4);

이렇게 적어주면, 3 + 4를 계산한 결과인 7

쌍따옴표 안에 있는 %d의 위치에 출력이 됩니다.



혹시, 출력할 것이 여러 개라면,

printf("%d %d", 3 + 4, 5);

이런 식으로 ,를 찍으면서 여러 숫자를 적어주면 됩니다.

이 경우에는 7 5가 출력이 되겠죠?



마지막으로,

혹시 출력 결과가 7, 5 이렇게

결과에 ,를 출력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?


간단해요.

printf("%d, %d", 3 + 4, 5);

이렇게 %d%d 사이에 ,를 찍으면 된답니다. 

'C언어 학습 공간 > 기본 출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2-6] 문자열 출력 - %s  (0) 2018.10.30
[C2-5] 문자 출력 - %c  (0) 2018.10.29
[C2-4] 실수 출력 - %lf  (0) 2018.10.26
[C2-2] 개행 출력 - \n  (0) 2018.10.26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  (0) 2018.10.25

이제 printf() 함수를 사용해서

hello world를 출력하실 수 있으신가요?


혹시 아직 모르신다면...

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. 


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



이번에는 두 줄에 걸쳐서 출력하는 방법을

알아보겠습니다.


hello

world


이런 식으로 출력하려고 해요.

어떻게 하면 될까요?



1
2
3
4
5
6
7
8
9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hello");
	printf("world");

	return 0;
}



위의 코드처럼 작성하면 될까요?

한 번 실행해보겠습니다.



helloworld



이런...


두 줄에 걸쳐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,

한 줄에 주욱 이어서 출력이 되어버렸네요.


그래도 이번 결과를 보면 printf() 함수는

자동으로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

알 수 있었네요.



그러면 강제로 줄바꿈을 시켜줘야 하겠네요.

줄바꿈은 다른 말로 "개행"이라고 하는데요.


줄바꿈이라는 말보다

개행이라는 말을 더 자주 쓴답니다. 



이제, 개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printf() 함수에서 개행을 하기 위한 표시는

바로 \n를 적어주는 것입니다.


예제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
1
2
3
4
5
6
7
8
9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hello\n");
	printf("world");

	return 0;
}



위의 코드에서처럼

"" 사이에 \n을 적어주게 되면,

그 곳에서 개행이 일어납니다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hello\nworld");

	return 0;
}



이렇게 쓰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납니다.


우리가 원하는 위치에다가 \n을 써주기만 하면,

그 곳에서 개행이 일어난답니다.



참 간단하죠? 

'C언어 학습 공간 > 기본 출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2-6] 문자열 출력 - %s  (0) 2018.10.30
[C2-5] 문자 출력 - %c  (0) 2018.10.29
[C2-4] 실수 출력 - %lf  (0) 2018.10.26
[C2-3] 정수 출력 - %d  (0) 2018.10.26
[C2-1] 단순 출력 - printf()  (0) 2018.10.25

이제 본격적으로 C언어를 배워볼 시간입니다.

마음의 준비가 되셨나요?


아직 컴파일러를 설치하지 않으셨다면,

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. 



[C1-1] C언어 컴파일러 다운로드


[C1-2] Dev-C++ 컴파일러 설치


[C1-3] C언어 컴파일러 다운로드



자, 준비가 되셨다면 이제 시작합니다.




지난 글에서 아래와 비슷한 코드를 입력했었는데요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
{
	printf("hello world");

	return 0;
}



이 코드가 무슨 의미일까요?


일단...

코드 전체를 살펴보는건 넘어갈게요.


지금 알아도 되긴 하지만...

나중에 기회가 되면 알려드릴게요.


다행히도 Dev-C++로 프로젝트를 만들면

기본적으로 일부 코드를 작성해주는데요.


그 코드를 수정해나가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
/* run this program using the console pauser or add your own getch, system("pause") or input loop */

int main(int argc, char *argv[]) {
	return 0;
}



첫 번째 줄에 #include <stdio.h>라고 있네요.

혹시 include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?


바로 "포함하다." 또는

"~을 포함시키다."라는 뜻인데요.


여기서는 stdio.h라는 파일을

포함시키라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.


그러면 stdio.h라는 파일은 무엇일까요?


stdio는

standard input/output library의 약자인데요.

"표준 입·출력 라이브러리"라는 뜻입니다.

기본적인 입력과 출력 함수가

담겨 있는 도서관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 


간단히 말해서,

기본적인 입력과 출력 기능을 쓰려면

1번째 줄에 #include <stdio.h>를 써야합니다! 



2번째 줄의 #include <stdlib.h>는 지금 당장은

필요가 없어요. 지워줍니다.

사실, 안지워도 상관이 없긴 해요.

하지만 불필요한 코드를 남겨놔서 좋을 건 없답니다.

과감하게 지워봅시다.



4번째 줄은 조금 기네요.

/* run this program   어쩌고 저쩌고   input loop */


이것은 주석이라는 부분인데요.

코드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아닙니다.


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이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

간단히 적어두고 싶은 경우들이 생기게 되는데요.


내가 작성한 코드에 주석을 잘 적어두면

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.


/*로 시작해서 */로 끝내면 되구요.

/*과 */ 사이에는 아무 말이나 적어도 된답니다.


그런데...

역시 지금은 이 부분이 필요가 없어요.

지워봅시다.



1
2
3
int main(int argc, char *argv[]) {
	return 0;
}



드디어 마지막 부분입니다.

main 함수라고 불리는 부분인데요.

이 부분은 나중에 함수라는 것을 만들어볼텐데요.

그때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.


자세한 설명은 그때 가서 하기로 하구요.

지금은 int argc, char *argv[] 부분만 지우기로 해요.



자, 코드에서 살아남은 부분이 어디인가요?



1
2
3
4
5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 {
	return 0;
}



이렇게 살아남았나요?


그러면 return 0; 바로 윗줄에 한 줄을 추가해봅시다.

바로 printf("hello world"); 라는 부분입니다.


printf()는 화면에 출력을 해주는 함수입니다.

그러면 무엇을 출력할까요?


바로 "" 사이에 있는 글자를 출력해줍니다.

printf("hello world");의 경우에는

화면에 hello world가 출력되겠네요.


아...

또 중요한 것이 있어요.

코드의 마지막 부분에는 보통 ;를 붙여주셔야 합니다.

세미콜론이라고 부르는 부분이구요.

코드의 끝을 알려주는 기능입니다.



1
2
3
4
5
6
7
8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 {

	printf("hello world");

	return 0;
}



이제 위의 코드가 이해되셨나요?


hello world 부분에 내가 원하는 내용을 적으면,

그 내용이 화면에 출력된답니다.



"F9"를 눌러서 컴파일하고,

"F10"을 눌러서 실행해보는거 잊지 않으셨죠?


컴파일 시 에러가 날 것 같지 않다면,

"F11"을 눌러서 한 번에 컴파일과 실행을

같이 해볼 수도 있답니다. 

'C언어 학습 공간 > 기본 출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2-6] 문자열 출력 - %s  (0) 2018.10.30
[C2-5] 문자 출력 - %c  (0) 2018.10.29
[C2-4] 실수 출력 - %lf  (0) 2018.10.26
[C2-3] 정수 출력 - %d  (0) 2018.10.26
[C2-2] 개행 출력 - \n  (0) 2018.10.26

+ Recent posts